진흙 갯벌 조간대 하부 에서 수심 100 m 전후의 깊이까지 다양한 저질 바닥에서 발견 되며, 다리를 포한 몸통길이는 30 cm 전후이다. 낙지는 주꾸미 (Octopus ocellatus), 문어(Octopus vulgaris) 등과 함께 어민들 의 중요한 소득 대상 수산자원이며, 국내 연안의 효율적인 자원 활용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수산자원 중 하나이다.
본 연구지역인 전남 무안군 갯벌 조간대 서식 생물의 다양성 이 높은 지역이다. 하지만 본 연구지역에 출현하는 생물들의 서식양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전남 무안 갯벌 조간대 먹이사슬 구조의 기초가 되는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 크톤 및 대형저서동물들의 서식상을 파악하고, 전남 무안 갯벌 조간대에 서식하는 낙지의 출현량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조사지역 및 방법
전남 무안군 망운면, 해제면 일대 3개 정점을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Fig. 1), 조사 시기는 2017년 4월, 5월, 10월이다. 해양환경 특성 조사는 수질 환경, 저질 환경, 지반고 및 노출 시간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질 환경조사는 현장에서 수온(℃), 염분(psu), pH, 용존산소(mg/L)를 측정하였다. 저질 환경은 강 열감량, 산화환원불연속층, COD (O2 mg/g·dry), 입도조성, 산 휘발성황화물(AVS) 항목은 현장에서 퇴적물 시료를 채취 후, 실험실로 운반하여 분석하였다. 기본수준면(Datum Level, DL (±) 0)을 사용하여 노출 시간을 추정하였고, 현장에서 물가선 을 10분 간격(고조-저조)으로 촬영하여 산출하였다. 고도 조사 는 레벨측량을 실시하여 조위 관측 후, 목포검조소 자료와 수치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지반고를 산출하였다. 갯벌 조간대는 간조와 만조에 의하여 노출과 침수를 반복 하며, 해양과 육상 사이의 물질교환 등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 며 어류와 두족류의 산란장 및 성육장의 역할을 하며,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가 되는 지역이다(Stephenson and Stephenson, 1949). 갯벌 조간대는 우리나라 서해 및 남해 일부 지역에서 분 포하며, 다양한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곳이다. 이러한 갯벌 조간 대에 서식하는 생물은 식물플랑크톤(phytoplankton), 동물플 랑크톤(zooplankton), 대형저서동물(Macro benthic fauna) 등 이 있다. 식물플랑크톤은 먹이사슬 구조에서 생산자의 역할이 며, 동물플랑크톤과 저서동물은 1차 소비자로 상위 포식자들 의 주요 먹이원이 된다. 대형저서동물은 섭식 또는 서식을 위 해 생물교란(bioturbation) 활동을 통해 퇴적환경에 변화를 가 져온다(Shunway, 2011). 또한 이러한 대형저서동물은 대부분 고착성이거나 이동성이 적으며, 분포양상은 퇴적상과 수심, 염 분, 용존산소, 유기오염 등의 다양한 환경요인의 영향을 받는 다고 알려져 있다(Pearson and Rosenberg, 1978). 국내에서 갯 벌 조간대에 서식하는 생물연구 중 식물플랑크톤은 영종도 갯벌(Yoon, 2003)과 고창군 하전 갯벌에서 이루어진 연구 등이 있다(Chung et al., 2015).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연구는 진해 안골조간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Paik et al., 2005), 학암포 사질 조간대 대형저서동물의 분포양상(Nam et al., 2015), 강화도 남단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월별 서식분포(Park, 2017), 가로림만 갯벌 조간대 대형저서동 물 군집 분석(Oh, 2017) 등이 있다.
본 연구지역인 전남 무안군 갯벌 조간대는 상업성 어종인 낙 지(Octopus minor)의 생산량이 높은 지역이다. 낙지(Octopus minor)는 연체동물문(Mollusca) 두족강(Cephalopoda) 문어목 (Octopoda) 문어과(Octopodidae)에 속하며, 우리나라 서남해 에 주로 분포한다(Hong et al., 2006).
갯벌 조간대에서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및 대형저서동 물을 채집하였다.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은 만조 일 때 시료를 채집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Van Dorn 채수기를 사용 하여 수심 1 m에서 채집하였으며, 루골용액(rugol solution)으 로 고정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네트 입구에 유량계가 부착된 NORPAC Net (구경 45 cm, 망목크기 330 μm)를 이용하였으며, 해저 표면의 약 1 m 위에서부터 수직 예망하여 채집하였으며, 10% 중성포르말린으로 고정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종 동정은 고배율 광학현미경(MOTIC BA210)을 이용하여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으며, 종 수준까지 동정이 어려운 경우는 상위 분류군까지 동정하였다.
식물플랑크톤 계수는 Sedgwick-rafter counting chamber를 사용하였으며, 단위체적당 현존량(cells/L)으로 환산하여 표기 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의 종 동정은 해부현미경(OLYMPUS SZ-51) 과 고배율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으며, 동정이 어려운 종은 상위 분류군까지 동정하였다. 계수에는 Bogorov counting chamber를 사용하였으며, 단위체적당 개체 수(ind./m2)로 환산하여 표기하였다.
대형저서동물의 채집은 0.5 m× 0.5 m 크기의 방형구를 이용 하여 저질을 정량 채집하였으며 채취한 저질은 현장에서 Sieve로 생물을 분리한 후, 10% 중성포르말린으로 고정한 뒤 실험실
로 운반하였다. 분류군별로 선별한 후 해부현미경하에서 최대
한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으며, 동정이 어려운 종은 상위 분류
군까지 동정하였다. 계수 및 생체량을 측정하였으며, 생체량은
습중량으로 0.01g까지 측정하였다. 개체수(ind./m2) 및 생체량(gWWt/m2)은 단위면적으로 환산하여 표기하였다. 또한 각 정점별로 전체 개체수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우점종을 선별하였다. 낙지의 주요 먹이생물은 칠게의 출현량 조사는 방형구 표본법을 이용하여 칠게의 굴 수를 계수하여 개체수를 추정하고 직접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해 캠코더를 이용한 동영상 촬영 후 개체수 값을 보정하였다. 직접 채집한 칠게는 실험실에서 개체수(개체/m2)를 산정하고, 갑각장, 중량을 조사하였다.낙지 자원량 조사는 부럿이 있는 지점에 Line을 설정하고, 50 cm×50 cm 방형구를 설치하여 방형구 내의 낙지를 채집하였다. 단위면적당 자원량을 추정하였다. 모든 조사는 낙지 어업인이 동행하였다.
(출처 : 논문 sfo.)
'수산,생물에 대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절별 해수교환율 : 하천, 해수유동 실험 (0) | 2021.04.08 |
---|---|
인공산란장 조성기법 적지 기준 (0) | 2021.04.07 |
낙지 행동 특성 연구 (0) | 2021.04.06 |
혼합퇴적상 해양환경 (0) | 2021.04.06 |
플랑크톤 환경은? (0) | 2021.04.05 |